쿼크체인
<QKC>
시가총액 : 1052.4억원(21.07.21기준)
총 발행한도 : 10,000,000,000
목차.
1. 쿼크체인이란?
2. 쿼크체인 근황 및 호재
3. 쿼크체인의 로드맵 (2017~ 2021 2/3분기)
4. Hetetogeneous 샤딩이란?
5. 쿼크체인의 시세
1. 쿼크체인이란?
쿼크체인은 블록체인의 병렬적 확장성 기술인 샤딩을 활용하여 트랜잭션에 구애받지 않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쿼크체인의 원천기술은 루트체인과 샤드가 들어있는 체인 두 개의 계층으로 나뉘는데, 이를 통해 Shard 및 Cross-Shard의 두가지 트랜잭션을 처리함으로서 다른 일반적인 샤딩 메인넷 보다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쿼크체인은 게임이론 프레임을 기반으로 모든 채굴자들이 함께 작업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협업 메커니즘을 설계하여, 컴퓨터 성능을 효율적화하고 있습니다.
2. 쿼크체인 근황 및 호재
쿼크체인은 6월 15일 2021 하반기 블록체인 트렌드 온라인 컨퍼런스에 참가하였습니다.
이번 컨퍼런스는 한국의 주요 블록체인 커뮤니티 중 하나인 코인로켓이 주최하였으며, 한국 인플루언서 채널인 핑크부 TV의 유튜브 채널에서 2시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쿼크체인, 오리진프로토콜, Algorand, Avalanche의 4개의 기업이 참여한 온라인 컨퍼런스입니다. 각 기업은 블록체인의 하반기 디파이와 NFT 트렌드에 대해 이야기 할수 있었습니다.
쿼크체인은 쿼크체인 한국 총괄 Jamie는 '차세대 디파이/ NFT 네트워크 구축' 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으며, 쿼크체인의 도입과 함께 기존 디파이 네트워크의 한계, 쿼크체인 기술의 차별화, 쿼크체인이 이러한 기존 한계를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해 주었다.
쿼크체인은 블록체인 샤딩 기술을 적용하여 유연하고 확장 가능하며 사용자 중심적인 블록체인 인프라이며 스테이트 샤딩 기술을 성공적으로 구현한 최초의 퍼블릭 체인 중 하나이다.
2Layer 블록체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첫번째 레이어는 샤딩 블록체인 두번째 레이어는 샤딩된 블록체인을 컨펌하는 루트 블록체인으로 구성되었다.
언제든 크로스 샤드 트랜잭션이 가능해서 확장성이나 속도개선에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3. 쿼크체인의 로드맵 (2017~ 2021 2/3분기)
* 2017 / 2018 1분기
백서 발간
검증 코드 0.1
테스트넷 0.1
8 샤드를 지원하는 내부 테스트넷
월렛 0.1
Q포켓은 입출금과 크로스 - 샤드 거래를 지원
* 2018 2/3분기
테스트넷 1.0 : 256 샤드, 6450노드로
14+K TPS를 달성한 퍼블릭 테스트넷
스마트 계약 0.1 : EVM 기반 스마트
컨트렉트를 지원
지갑 0.2 : Q포켓은 스마트 컨트렉트의 배포 및 사용을 지원
블록 탐색기 및 네트워크 탐색기
* 2018 4분기 / 2019 1분기
테스트넷 2.0 : 모두가 채굴할 수 있는 퍼블릭 테스트
채굴에 참여
쿼크체인 코어 1.0 : 공식적인
클러스터 기반의 쿼크체인 노드
메인넷 1.0 : 메인넷 공식 출시
스마트지갑 1.0 : Q포켓은 더욱 향상된 사용자
경험과 크로스 - 샤드 거래를 지원
* 2019 2분기
쿼크체인 코어 2.0 : p2p 프로토콜이 클러스터 기반의 노드, 더 많은 샤드와 다양한 컨센서스를 지원하는 쿼크체인이 정식 출시
스마트 지갑 3.0 : Q포켓은 Dapp과 멀티관리를 지원
* 2019 3/4분기
새로운 샤드 개발을 위한 커뮤니티 거버넌스 토큰 스왑/ 스마트 컨트랙트
* 2020 1-4분기
스테이킹풀 컨트랙트가 적용된 '스테이킹1.0'
* 2021 1분기
멀티네이티브토큰 기능 갖춘 새로운 메인넷
* ★2021 2/3분기★
DeFi 제품이 풀시 '스테이킹 2.0'
Hetetogeneous 샤딩 : 확장성 + 유연성
멀티 네이티브 토큰 : DeFi + NFT
4. Hetetogeneous 샤딩이란?
샤딩 기술은 이더리움 2.0을 포함한 많은 프로젝트들이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요 솔루션입니다.
확장성 문제를 해결할뿐만 아니라 기반 인프라에 유연성을 제공하며 단일 블록체인을 1차선 도로에 비유한다면 샤딩은 교통량에 따라 도로를 추가 할 수 있는 다차선 고속도로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현재 비트코인을 포함한 모든 블록체인 플랫폼은 모두 다음의 4가지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 컨센서스 (POW, POS, DPOS, PBFT)
* 트랜잭션 모드 (BTC 트랜잭션모드, 프라이버시 트랜잭션모드, 가상머신 등)
* 원장 (UTXO , Account base)
* 토큰 이코노미
현존하는 퍼블릭 체인들의 99%의 경우 위 4가지 요소를 모두 하나씩 가지고 있습니다.
쿼크체인 시스템에서 네이티브 토큰인 QKC의 모든 기능을 동일하게 실현합니다.
사용자가 네이티브 토큰 생성가능하며 자신만의 네이티브 토큰으로 가스 수수료 지불도 가능하죠.
누구나 이더리움과 같이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네이티브 토큰을 발행할수 있습니다.
네이티브 토큰은 블록체인 인프라에서 직접적으로 발행되는 토큰들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토큰은 온체인 투표 및 전송 수수료의 결제 등의 기능적 가치를 모두 누릴수 있게 됩니다.
5. 쿼크체인의 시세
쿼크체인은 7/2기준 50%이상의 급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디파이 호재로 인한 급등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쿼크체인의 차트의 특징은 한번 씩 시원하게 쏴준다는거죠.
비트코인이 아직은 투자하기 어려운 시기지만 쿼크체인이 올라준 모습을 보니 기쁘네요.
투자는 그 코인에 대한 신뢰감이 있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쿼크체인의 로드맵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꾸준히 개발을 열심히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쿼크체인은 김치코인으로서 앞으로 미래를 밝은 코인이되길 바랍니다.
여기까지 쿼크체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